2025 LoL 월드 챔피언십 롤드컵 일정 중계 진출팀 우승상금 역대 우승팀
롤드컵(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은 전 세계 LoL 팬들이 가장 손꼽아 기다리는 국제대회입니다.
매년 여름과 가을 사이 각 지역 리그에서 선발된 팀들이 모여 세계 최강을 가리는 이 대회는 경기력은 물론 팬덤, 중계, 상금, 명예 등이 모두 걸린 무대입니다.
특히, 2025 롤드컵은 총상금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책정되었으며, 한국 LCK, 중국 LPL, 유럽 LEC, 북미 LCS 등 주요 리그의 대표팀들과 아시아·태평양, 남미 및 기타 지역의 강팀들이 본선 무대를 노리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롤드컵 일정, 중계, 진출팀, 우승상금, 역대 우승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2025 롤드컵 일정 및 중계
1. 경기 일정
2024 롤드컵 일정은 10월 14일부터 시작하여 11월 9일 결승전으로 마무리됩니다. 본선 경기는 플레이-인 스테이지, 스위스 스테이지, 토너먼트 스테이지로 구성됩니다.
경기 장소는 베이징에서 시작하여 상하이에서 8강·4강, 그리고 청두 동안호 스포츠 파크 다목적 체육관에서 결승전을 치릅니다.
- 플레이-인 스테이지: 9월 25일부터 29일까지 개최되며, 하위권 진출팀들이 경쟁하여 본선 진출 티켓을 확보합니다.
- 스위스 스테이지: 10월 3~7일, 그리고 10월 10~13일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이 단계에서 상위 시드 팀들과 플레이-인에서 올라온 팀들이 맞붙습니다.
- 토너먼트 스테이지: 8강, 4강, 결승 순으로 진행되며 8강은 10월 17~20일에, 4강은 10월 26~27일, 그리고 결승은 11월 2일에 개최됩니다. 장소는 주최 도시 및 경기장에 따라 다릅니다.
이처럼 롤드컵은 여러 단계로 나뉘어 치러지며, 진출 여부와 경기 일정이 매우 촘촘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2. 중계 채널
중계는 공식 라이엇 게임즈 채널 및 파트너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며, 한국에서는 네이버 e스포츠, 라이엇 공식 홈페이지, Twitch, YouTube 등에서 실시간 중계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중계 시간은 한국 표준시 기준으로 경기 시작 시점, 스테이지별 경기 일정 및 시간대가 다를 수 있어 공식 일정 발표 직후 각 플랫폼 안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롤드컵 진출팀
2025 롤드컵 진출팀은 총 17개 팀입니다. LCK에서는 젠지(Gen.G), 한화생명 e스포츠, T1, KT 롤스터 등이 진출권 확보를 위한 플레이오프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최근 KT 롤스터가 젠지를 제압하고 롤드컵 진출을 확정했습니다.
해외 지역에서는 유럽(LEC), 중국(LPL), 아시아‑태평양(LCP 등), 미국/중남미(LTA 등) 소속 팀들이 포함되며, 예를 들어 CTBC Flying Oyster, PSG Talon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팀, G2 e스포츠, Movistar KOI 등이 유력 후보 또는 진출팀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롤드컵 우승상금 및 상금 구성
2025 롤드컵의 총상금은 5,000,000달러로 확정되었습니다. 총 상금을 원화로 환산하면 약 28억 원, 우승팀에게 돌아가는 상금은 약 6억 2,000만원가량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이전 대회 대비 크게 인상된 금액입니다.
상금 배분은 플레이‑인 탈락팀, 스위스 스테이지 탈락팀, 녹아웃(Stage of Knockout) 진출팀, 그리고 우승팀 순으로 차등 배분될 것이며, 승자 및 진출 단계가 높을수록 보상이 큽니다.
또한, 상금 외에도 팀의 굿즈 판매 수익, 스폰서십 보너스 등이 추가 보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어 실제 수익 규모는 상금만으로 계산된 것보다 클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달러 기준과 원화 기준 모두 상금 규모가 커지고 있어 진출팀들의 동기 부여가 크며, 국제대회로서의 위상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 롤드컵 역대 우승팀
롤드컵의 역대우승팀을 보면 한국의 팀들이 많은 우승을 차지해 왔습니다. 최다 우승팀은 T1(구 SKT T1 포함)으로 5회 우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한국/중국 리그 소속 여러 팀들이 1~2회 우승 기록을 갖고 있습니다.
연도 | 우승팀 | 리그(지역) |
2011 | Fnatic | 유럽 (LEC) |
2012 | Taipei Assassins | 대만 / GPL |
2013 | SK Telecom T1 | 한국 (LCK) |
2014 | Samsung White | 한국 (LCK) |
2015 | SK Telecom T1 | 한국 (LCK) |
2016 | SK Telecom T1 | 한국 (LCK) |
2017 | Samsung Galaxy | 한국 (LCK) |
2018 | Invictus Gaming | 중국 (LPL) |
2019 | FunPlus Phoenix | 중국 (LPL) |
2020 | DAMWON Gaming | 한국 (LCK) |
2021 | Edward Gaming | 중국 (LPL) |
2022 | DRX | 한국 (LCK) |
2023 | T1 | 한국 (LCK) |
2024 | T1 | 한국 (LCK) |
이 외에도 북미, 유럽 지역에서는 아직 우승을 차지한 팀이 많지 않거나, 결승 진출은 있었지만 우승 기록은 적습니다. 이는 롤드컵 역사에서 한국 및 동아시아 및 중국 리그의 강세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2025 롤드컵 일정은 10월 14일부터 11월 9일까지이며, 중계는 라이엇 게임즈 공식 채널 및 국내외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제공될 예정입니다.
진출팀은 총 17개로, 한국과 중국, 유럽, 아시아-태평양 등 각 지역의 강팀들이 출격하며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우승상금은 약 500만 달러 또는 약 28억 원 수준, 우승팀에게 돌아가는 금액도 상당히 큽니다.
롤드컵은 단순한 e스포츠 경기 모음이 아닌 국제적인 전략, 팀워크, 팬 문화, 경기 메타 변화가 모두 집약된 하나의 문화 이벤트입니다.
만약 LoL 팬이시라면, 혹은 e스포츠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2025 롤드컵 경기를 실시간 중계로 챙겨보시면 후회 없는 경험이 되실 것입니다.
댓글